레이먼드 윌리엄스. <시골과 도시>

Reading 2014. 5. 11. 03:42

세창출판사에서 아도르노 강의록 두 권이 더 나왔다. 예전 첫 출간 (<부정변증법 강의> <신음악의 철학>) 이후로 잘 안 팔려서--책이 진짜 매력없게 생기긴 했다--아도르노 강의록 출간을 포기한 게 아닐까 걱정했는데 다행히 계속 내주고 있다. 근데 가격이 미칠듯이 비싸다. <미학강의1>과 <사회학 강의>를 합치면 8만원에 가깝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Grundrisse과 함께 이번 여름이 가기까지 사두고 싶은 리스트에 넣기는 했는데(맑스는 <잉여가치학설사> 영어판을 다 구했기 때문에, 이제 그룬트리세만 구하면 후기의 주요저작 3종세트는 다 모으는 셈이다...언제나 그렇듯이 읽는 게 문제다) 워낙 미친듯이 비싸서... 이런 저런 알바비가 다 들어오기 전까지는 그림의 떡이다.


<주체의 해석학>을 사놓은지 수년 만에 드디어 읽기 시작했다. 1/3 정도 읽었고, 생각보다 수월하게 잘 읽힌다. 동문선에서 나왔지만 심세광 선생은 역시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았다^^(물론 난장에서 나오고 있는 것에 비하면 마감모양새가 많이 떨어지긴 한다...). 나야 그리스 고전에는 워낙 문외한이라서...<알키비아데스>를 읽어두긴 했지만 세네카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아예 모른다. 그래서인지 오히려 이전의 두 강의록에 비해 훨씬 쉽게 잘 넘어간다. 일단은 그리스 고전에 대한 각주는 쭉쭉 넘기면서 푸코가 주체와 자기-배려, 더 나아가 자기-생산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만 보려고 한다. 세미나를 해도 엄밀히 말해 나의 역사적 퍼스펙티브에 들어오지 않는 시대라서 덧붙일 이야기가 별로 없다. 푸코가 사회로부터 후퇴해 주체로 구멍을 파고 들어간다는 내러티브에 어떻게 굴복하지 않을 것인지, 그러면서도 푸코가 내놓는 답변이 정말 신뢰할만한 대안인지를 묻는 게 앞으로 3개월 간 남은 푸코 세미나의 목표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결국 푸코가 어느 정도까지 완성했는지 답하기 어려운 시도를 설명하고 구축하는 텍스트들로 <권력과 저항> <윤리적 폭력 비판>을 같이 읽어야 한다고 보는데, 그러면 세미나 난이도가 확 뛸게 뻔해서^^; 고민 중이다.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시골과 도시>_The Country and the City_ 국역본을 어제 읽었다. 원래 잠깐 Hardy랑 Eliot 언급만 보려고 폈다가, 역시 앞부분의 문제의식을 봐야 한다는 생각으로 읽기 시작해서... 1/3만 읽으려다 너무 재밌어서 결국 어제 새벽에 한 호흡으로 다 읽어버리고 말았다-_-;; 번역은, 원문대조는 안 해봤지만, 그 자체로는 대체로 수월하게 잘 읽힌다. 윌리엄스가 50대에, 그러니까 1973년에 쓴 텍스트라 시기만 보면 꽤 낡은 책인 듯 싶지만(특히 우리에게 윌리엄스는 이미 낡은 저자로 간주되고 있으니까...이 사람이 푸코랑 거의 동년배라는 사실을 상기하자) 실제로 다루는 텍스트들 및 시기를 보면 비르길리우스의 텍스트에서부터 자신과 동시대의 SF까지 굉장히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의 진행에 따른 국제적 분업문제까지 자신의 문제틀, 곧 도시와 시골의 상호작용이란 틀(지역적 분업)로 설명하고 있어서 전혀 낡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개인적 체험이 깊숙히 들어가 있고 실제로 적잖은 부분에서 언급되는데, 만약 누군가가 그것 때문에 이 책을 좋은 '연구서'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면 나는 이 <시골과 도시>가 어줍잖은 연구서 따위보다 한층 격이 높은 좋은 '책'이라고 단호하게 답변하겠다. 텍스트 독해 및 인간의 정신, 이데올로기에 대한 이해 모두에서 원숙한 비평가의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조지 엘리엇에 대한 코멘트는, 비록 그것을 텍스트 비평에 직접 활용하기 어렵다고 해도, 꽤나 진정성 있으며 깊이 음미해볼만하다. 하디의 "그 자체로 변화하고 있는" 시골의 묘사에 대한 지적도 특히나 당시의 영국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우리에게는 참고점을 준다. 우리가 개별 텍스트 분석의 먹잇감을 던져주는 데 집착하지 않고 저자 자신이 주는 통찰력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면, 여기서의 윌리엄스는 자신이 E. P. 톰슨이라는 천재보다 모자라지 않은 사람임을 보여준다. 어차피 이 시기 영국 맑스주의 역사가들의 강점은 개념화가 아닌 분석의 탁월함 그 자체에 있다는 걸 생각하자(그런 점에서 이들은 이론가가 아니라 비평가critic이며, 비평가를 제대로 읽는 법을 모르는 한국의 지적 세계에서 이들이 홀대받는 상황은 당연하다...이들은 논리와 개념의 치밀함이 아니라 사고의 사려깊음에 강점을 갖고 있다).

 여기서 윌리엄스를 문학연구자가 아닌 역사가 혹은 역사 비평가라고 (나는 당연히 여기서 후자를 조금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말하고자 한다면, 그가 어떤 역사적인 퍼스펙티브를 갖고 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이제는 경제사에서 꽤나 표준적인 설명으로 자리잡았겠지만, 윌리엄스는 근본적으로 영국의 자본주의 발달사의 기원을 농업자본주의로 잡는다(브레너의 <유럽 자본주의의 농업적 기원>을 상기할 것). 즉 우리의 시선을 흐리는 '목가'pastoral의 전통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역사를 보면 농촌 혹은 시골에서 자본주의의 진행은 꾸준히 관철되어 왔으며 거의 매 시대에 토지를 빼앗기고 잉여노동력으로 방출되는 농촌노동자들은 계속해서 '생산'되어 왔다. 이러한 시점, 즉 우리가 시골 혹은 농민들이라고 한번에 일반화할 수 없으며 역사적인 농촌/시골은 계급갈등/분열/투쟁이 벌어지는 곳, 다양한 계급들이 (적대적인 경우를 포함해) 상호작용하고 있는 공간이었다는 시점에서 윌리엄스는 시골의 역사적 진행뿐만 아니라 주로 문학텍스트에 나타난 시골의 이미지를 함께 분석한다--어떤 면에서 윌리엄스는 그 자신이 하나의 시조로 간주되는 문화연구가 텍스트 외부의 역사적인 퍼스펙티브를 반드시 요구한다는 것을 이 텍스트로 입증한다. 앞서 말했듯 '목가'의 이미지가 동원되는 최초의 텍스트에서부터 보다 근대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하면서도 유지되어 왔는지를 윌리엄스는 문학텍스트를 정말로 폭넓게 아우르면서 (우리가 전혀 모르는 농촌시인들의 텍스트를 포함하여) 세심하게 본다. 개별 텍스트에 할애하는 각각의 내용이 아주 크거나 많지는 않지만, 그가 단순히 목가는 허위의식이라는 데 멈추는 대신 각각의 맥락을 조금 더 풀어 설명하는 대목은 적어도 해당 부분의 비전문가인 나의 입장에서는 꽤나 설득력 있으면서도 사려깊게 다가온다. 물론 윌리엄스의 본령은 역시나 19세기의 소설가들에 있다. 이 책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영국에는 시골만 있는 것이 아니며 그 어느 국가보다도 가장 빠르게 도시화에 돌입한 국가들 중의 하나가 영국이다. 특히나 디킨스, 조지 기싱, H.G. 웰즈를 다루면서 윌리엄스는 도시의 사회사를 역시나 (고전적인 통념들을 반박하며) 분석하고 제시한다. 그리고 결국에 도시와 시골이 독립적으로 사고되지도, 독자적으로 변하거나 (특히 시골이 오해되듯) 정체된 형태로 남아있는 공간이 절대로 아니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국제분업과 제국주의/식민주의는 윌리엄스에 따르면 도시와 시골의 분리를 추동해온 힘, 다시 말해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진전과정에 따른 귀결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윌리엄스의 사고는 공간 및 공간의 재현을 주된 초점으로 삼되 역사=시간축을 도입하여 그것들의 변천을 추적하고 다시 그것들을 종합하는 틀로 자본주의 생산양식이라는 원리를 제안한다고 간추릴 수 있다; 그것이 범속한 문화이론가/연구자와 달리 윌리엄스의 시야를 깊고 폭넓고 '구조적'으로 만들어준다. 공간과 시간을 결합한다는 것, 수백년에 걸친 재현/이데올로기의 변천을 추적하는 작업은 단순히 새로운 연구결과를 수용한다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언젠가 인용할 수 있는 몇몇 대목을 뽑아놓고, 최근 국문학계에서 점차 가시화된 성과를 제출하고 있는 문화연구들을 상기하면서, 그리고 어느 정도 소강상태에 들어선 영문학계의 문화연구를 떠올리면서, 나는 이 책의 중요성을, 탁월함을, 그 의미를 다시금 강조하고 싶다. 결국 우리는 단순히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중요한 일을 하려고 할 뿐이다. 좋은 연구를 본다기보다는 좋은 책을 본다는, 좋은 사유의 결과물을 보려는 의도로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윌리엄스는, 특히 중기 이후의 작업들이 조금 더 소개가 되었으면 좋겠다(<문화사회학>이랑, 예전에 한번 대충 읽고 지나친 <맑스주의와 문학>을 다시 보아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