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커리큘럼: "정치신학"--슈미트, 칸토로비츠, 아감벤.

Reading 2016. 1. 11. 07:46
방학 동안 진행할 세미나 커리큘럼을 공유합니다(영어 및 한국어역 위주인 까닭은 세미나 주요구성원들이 독일어와 무관한 전공이라ㅠㅠ). 필요하신 분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고, 혹시 덧붙여주실 사항 있다면 무엇이든, 언제든 환영입니다^^. 일정상 슈미트와 칸토로비츠에 많은 무게가 쏠려있고, 아감벤은 약간 덤으로 들어가는 편입니다.

<주 텍스트>
1) Schmitt, Carl. _Political Theology_ Trans. of _Politische Theologie: Vier Kapitel zur Lehre von der Souveränität_. 영역 혹은 한국어역(칼 슈미트. <정치신학: 주권론에 관한 네 개의 장>. 김항 역. 그린비, 2010). 둘 다 1934년 나온 개정2판을 번역한 것임(초판은 1922).

2) Kantorowicz, Ernst H. _The King's Two Bodies_. 1957. [현재 구할 수 있는 건 William Chester Jordan의 서문이 붙은 1997년 판. 본문 내용은 차이 없음]

3) Agamben, Giorgio. _Homo sacer_ (영역/한국어역. 한국어판은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박진우 역. 새물결, 2008.)


<참고 문헌, 계속 추가 예정>
* 정치신학에 관해 영어권의 포괄적인 2차문헌 목록(bibliography)으로 다음의 사이트를 참고:
http://www.politicaltheology.com/blog/political-theology-the-bibliography-project/

*슈미트 관련
1) Meier, Hans. "What is Political Theology?" _Leo Strauss and the Theologico-Political Problem_. 2006. 77-87.
: 저명한 슈미트/레오 스트라우스 연구자 한스 마이어의 논문을 모아 영어로 번역한 책. 이중 <정치신학이란 무엇인가?>는 슈미트의 작업이 속한 맥락 및 정치신학이 무엇인지, 그 주제가 오늘날 왜 중요한지를 간결하게 설명한다.

2) 야콥 타우베스. <바울의 정치신학>. 조효원 역. 그린비, 2012. Trans. of _Die politische Theologie des Paulus_ by Jacob Taubes.
: 타우베스가 죽기 직전 1987년에 마지막으로 수행한 강의록(독어판 출간은 1993). 바울의 서신에 대한 종말론적/정치신학적 독해를 바탕으로 벤야민/슈미트/니체/프로이트 등을 탁월하게 독해한다. 그는 만년의 슈미트와 직접 만나 <로마서> 해석을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슈미트의 <정치신학> 관한 코멘트로는 6장(147-64) 및 보론(220-37)을 참고. 전간기 독일 지성사에 관심 있는 독자도 읽어볼 만한 텍스트.

3) 칼 슈미트.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 나종석 역. 도서출판 길, 2012. Trans. of _Die geistesgeschichtliche Lage des heutigen Parlamentarismus_ by Carl Schmitt, 1923.(번역저본은 1996년의 8판) 영역본은 _Crisis of Parliamentary Democracy_로 출간.
: <정치신학> 초판(1922) 이듬해 1923년 출간된 텍스트. 로마 가톨릭 논의부터 시작해 <독재론>, <정치적 낭만주의>, <정치신학>, <정치적인 것의 개념> 등으로 이어지는 슈미트의 20년대 주저 중 한 권. <정치신학>에서 비교적 짧게 논의되었던 것들, 의회주의/민주주의의 난국 및 좌파 독재주의(헤겔-맑스-소렐 및 프루동, 바쿠닌)를 보다 상세하게 다룬다. 한국어판의 경우 50쪽 정도의 역자해제에서 1차 대전의 패전-바이마르 공화국의 성립과 몰락-나치스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흐름과 슈미트의 지적 여정을 잘 소개한다.

4) 발터 벤야민. <독일 비애극의 원천>. 조만영 역. 1부 1장 "독일 바로크와 비애극" 및 1부 2장 "비애극과 비극" Trans. of _Ursprung des deutschen Trauerspiels_ by Walter Benjamin, 1928.
: 슈미트의 <정치신학>에 대한 벤야민의 비판적 응답.

5) Schmitt, Carl. <정치신학II: 모든 정치신학은 일소되었다는 전설>_Political Theology II_ (한국어본은 김효전 선생이 번역 및 주석을 추가한 글을 구할 수 있다. 동아법학 16(1992): 249-356 참고)
: 만년의 슈미트가 1970년에 발표한 글. <정치신학> 2판이 출간된 이듬해인 1935년, 에릭 페터존(Erik Peterson)의 비판적 응답인 <정치적 문제로서의 일신교: 로마제국 정치신학사 논고>가 발표되고, 이후 "정치신학 문제는 끝났다"는 반응이 지배적이 된 시점에 슈미트가 다시금 반론을 제기한 글. 블루멘베르크의 비판에 대한 응답도 포함한다.

6) Schmitt, Carl. _Hamlet or Hecuba: The Intrusion of the Time into the Play_. Trans. David Pan& Jennifer R. Rust. NY: Telos Press Publishing, 2009.

7) _Telos_ 71, 72
153(2010, Winter): Special Issue on Carl Schmitt's _Hamlet or Hecuba_.

8) Blumenberg, Hans. "Political Theology I and II." _The Legitimacy of the Modern Age_. 역자서문(xi-xxxi) 및 8장(83-102).
: 블루멘베르크의 <근대의 정당성> 영역본. 1949년 칼 뢰비트가 <역사의 의미>(_Meaning in History_)를 출간하며 근대의 역사철학을 중세 기독교 세계의 "세속화"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하고, 블루멘베르크는 1966년 <근대의 정당성>에서 이를 반박한다. 이 과정에서 슈미트가 <정치신학>에서 제시한 세속화 개념을 비판적으로 다루는데, 슈미트는 4년 뒤 <정치신학2>에서 응대하고, 블루멘베르크는 다시 <근대의 정당성> 2판(1973-76)에서 재반박한다. 영역본은 2판을 번역했으며, 가급적 논의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역자서문을 먼저 읽기를 권한다.

9) 고지현. "발터 벤야민의 초기 주 저작 <독일 비애극의 기원>에서의 칼 슈미트의 비판적 수용." <사회와 철학> 2005(9): 239-76.

10) Meier, Hans. _Carl Schmitt and Leo Strauss: The Hidden Dialogue_

11) 나카지마 마사키. <칼 슈미트 입문 강의>. 2013. 김상운 역. 2015-16. [http://nomadist.tistory.com/category/%EC%B9%BC%20%EC%8A%88%EB%AF%B8%ED%8A%B8%20%EC%9E%85%EB%AC%B8%20%EA%B0%95%EC%9D%98]


*칸토로비츠 관련
1) _Representations_ Spring 2009(106) [Special Forum on Kantorowicz]
:Greenblatt의 매우 짧은 서두 및 Jussen(비교적 상세하게 칸토로비츠 저작의 영향 및 논점을 소개하고 있음)은 칸토로비츠 들어가기 전에 미리 알아서 읽어보기. 칸토로비츠를 슈미트 비판의 맥락에 놓는 Halpern은 슈미트까지 본 7주차 쯤에 참고. Hutson은 르네상스 드라마에 관심있는 구성원이 따로 읽는다. Kahn의 글은 2에 수록된 텍스트로 읽는다.

2) Kahn, Victoria. _The Future of Illusion: Political Theology and Early Modern Texts_
: 2장 "Sacred Kingship and Political Fiction"

3) Burns, J. H. ed. _Cambridge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c.350-c.1450_ [칸토로비츠 관련 10장과 16장 참고]
:칸토로비츠가 주로 인용되는 대목으로는 10장 "Kingship and Empire"(c. 750-c.1150) 및 16장 "Government"(c.1150-c.1450) 참고.

4) Rust, Jennifer. "Political Theologies of the _Corpus Mysticum_: Schmitt, Kantorowicz, and de Lubac." _Political Theology and Early Modernity_. Eds. by Graham Hammill and Julia Reinhard Lupton. 102-23.

5) 마르크 블로크. <기적을 행하는 왕>. 박용진 역. 한길사, 2015. Trans. of _Les Rois thanumaturges_ by Marc Bloch, 1924.
: 12세기부터 18세기까지 왕의 안수치료 기록에 대한 역사서. 왕의 신성한 권력이 기독교 교회의 의례로부터 출발했음을 지적. 칸토로비츠 역시 블로크의 책을 짧게 인용한다.

6) W. 울만. <서양중세정치사상사>. 박은구, 이희만 역. 숭실대학교 출판부, 2000. Trans. of _Medieval Political Thought_ by Walter Ullmann, 1975.
: 20세기 중후반의 주요한 중세 정치사상사가 중 한 명인 발터[월터] 울만의 중세 정치사상사 개설서. 로마 말기부터 시작해 인문주의자들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로마 교황과 제국/국왕의 협력/갈등을 중심축으로 그가 "상향식"(ascending) 및 "하향식"(descending) 논리라고 표현한 정치사상들의 등장과 전개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특히 법학과 신학을 중심으로 하는 울만의 설명은 칸토로비츠의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놓일 이해의 맥락을 제공하기에 미리 혹은 함께 읽어둘만 하다. 이 텍스트는 울만의 저술 중 유일하게 한국어로 번역되었는데, 한국어판은 고유명사 표기가 전부 영어식을 따르는 아쉬움이 있지만 큰 문제 없이 읽힌다. 칸토로비츠 역시 울만의 작업을 알고 있었으며, 그의 주저를 자신의 저서에서 인용한다.


*아감벤 관련
1) Agamben, Giorgio. _State of Exception_ (영역 및 국역. 국역본은 조르조 아감벤. <예외상태>. 김항 역. 새물결, 2009.)
: _Homo sacer_의 속편격이며 조금 더 슈미트적인 문제틀에 집중하고 있음. 흥미있는 구성원만 개별 참고. <호모 사케르> 및 <예외상태>의 논의를 간명하게 요약한 글로 토마스 렘케, <생명정치란 무엇인가>(Thomas Lemke, _Biopolitics: An Advanced Introduction_)의 4장 참조(영어판 53-64).


*기타
1) 홍철기. <세속화와 정치 신학>. 문학과사회 27.4(2014): 411-28.

1) Lowith, Karl. _Meaning in History_, 1949. (한국어판: <역사의 의미>, 이한우 역, 1987)
: 뢰비트는 <역사의 의미>에서 근대의 역사철학이 유대-기독교 신학, 특히 종말론적 역사관에 어떤 빚을 지고 있는지 해명한다. 흥미롭게도 그는 야콥 부르크하르트, 맑스, 헤겔부터 거슬러 올러가 볼테르, 비코, 요아힘(Joachim von Floris)을, 나아가 아우구스티누스와 그 제자 오로시우스(Orosius)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저자들을 시간 역순으로 배치, 세속화된 세계의 역사철학을 파헤쳐 그 속에 성서적 역사해석이라는 원형이 존재함을 밝히려고 한다. 기독교 종말론이 단순히 독특하고 예외적인 이교 전통이 아니라 기독교, 나아가 서구 근대에 이르기까지 근본적 세계관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시선은 특히 나와 같이 '바깥에서' 서구 근대를 연구하는 이가 놓치기 쉬운 중요한 통찰이다. 뢰비트의 "세속화 테제"는 블루멘베르크와의 논쟁으로 이어지는데, 비단 블루멘베르크만이 아니라 타우베스의 텍스트와도 같이 읽기 좋은 책이다.

2) 클로드 르포르. <19~20세기 정치적인 것에 대한 시론>. 홍태영 역. 그린비, 2015. Trans. of _Essai sur le politique : XIXe-XXe siècles_ by Claude Lefort, 1986.
: 특히 4부의 <정치신학적인 것의 영원성?> 참고.

3) Sarıtoprak, Zeki. "Professor Sarıtoprak: 'ISIS uses eschatological themes extensively for their ideology.' Today's Zaman. 2015년 3월 2일. [http://hizmetnews.com/15254/professor-saritoprak-isis-uses-eschatological-themes-extensively-ideology]
: 무슬림 신학 연구자 Saritoprak의 ISIS 관련 인터뷰. ISIS의 이데올로기에서 이슬람 급진파의 종말론적 교리가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설명한다. 17세기 영국혁명에서 종말론/이단이 수행한 역할을 다룬 마이클 왈저(Micahel Walzer)의 <성인들의 혁명>_The Revolution of the Saints_이다 J. G. A. 포칵(Pocock)의 <마키아벨리언 모멘트>_The Machiavellian Moment_의 3부 초반부를 함께 본다면 ISIS가 일종의 종말론에 기반한 "성인들의 혁명정치"를 수행 중이라는 가설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정치신학이 결코 과거의 주제가 아니며, 21세기의 현재에도 유효한 개념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인터뷰.

4) Saritoprak, Zeki. _Islam's Jesus_. Gainsville: UP of Florida, 2014.
: 기타 3번의 인터뷰이 Sritoprak의 이슬람 신학(Islamic theology) 연구서. 제목에서처럼 이슬람 신학에서 예수가 등장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책인데, 흥미로운 것은 저자가 그중에서도 이슬람 종말론(Islamic eschatology)이라는 맥락에서 예수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탐구한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예수가 무하마드 이전에 온 선지자/예언자로 간주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슬람 신학에서 종말의 순간에 예수가 강림하여 적그리스도(Anti-Christ)와 최후의 전쟁을 벌인다는 사실은 특히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언젠가 ISIS의 정치신학이라는 주제를 다룰 때 참고해야 할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