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섹슈얼리티": 강의계획서 (2023년 1학기)
아래는 2023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맡은 수업 "역사 속의 섹슈얼리티"의 강의계획서 내용 일부분이다. 참고문헌 목록을 포함하고 있는만큼, 수강·청강과 무관하게 해당 주제에 관심을 가진 분들을 위해 올려둔다. 주차별 내용 및 실제 수업에서 읽힐 텍스트 목록은 보다 적절한 문헌의 발견이나, 수강생의 지적 배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현실적으로는 주차별 읽기 분량을 꽤나 덜어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보다 상세한 수업설명은 아래의 강의 개요 및 주차별 주제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박사학위논문(http://www.riss.kr/link?id=T16548797)을 포함해 지금까지 나의 지적 여정을 접한 소수의 독자들은 눈치채시겠지만, 수업의 전체적인 문제의식과 얼개는 박사학위논문 및 이후 프로젝트 구상안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18세기 영국문학·지성사를 공부하는 연구자로서 나는 지성사와 문학 연구 사이에 여전히 커다란 공백지대가 있으며, 특히 젠더·섹슈얼리티 관련해서 당대의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언어의 논리를 이해할 때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는 주제가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짧게는 그러한 공백지대를 직시할 수 있는 시선을, 길게는 이른바 '서구 사상 전통'과 성의 관계를 억압과 해방, 지배와 저항이라는 여전히 연구자들의 뇌리를 지배하고 있는 단순한 대립구도보다 깊이 있게 음미할 수 있는 지적인 역량을 제공하는 것이 이 수업의 과제다. 설령 단 한 학기라 할지라도 갓 박사를 마친 연구자가 박사학위논문의 문제의식을 더 크게 펼쳐내는 수업을 해볼 수 있는 기회는 오늘날 한국 학계에서 매우 희귀한 것임을 잘 안다. 타 학과의 젊은 연구자가 대학원 수업을 맡도록 허락해주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선생님들께 깊이 감사드린다.
역사 속의 섹슈얼리티
(사학과 대학원)
2023년 1학기
금요일 12:00–14:45
이우창 (사학과 강사)
강의 개요
오늘날 사람들은 스스로가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 성을, 또 그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의 역사”가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하기란 의외로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우리는 성풍속, 성과학(담론), 성 관련 제도, 여성성·남성성, 여성주의·여권, 젠더·퀴어적 실천과 같이 무척이나 온갖 상이한 주제의 연구가 성의 역사라는 이름 하에 묶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는 역사적 범주로서의 성이 갖는 독특한 성격에서 기인합니다.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구별과 같은 까다로운 문제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듯, 성은 물질적으로든 개념적으로든 그 실체를 명확히 규정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사회는 언제나 국가보건, 사회도덕, 종교, 가정생활, 예술, 자기관리와 같은 다양한 각도를 통해 성을 주목하고 조정하려 노력해 왔습니다. 요컨대 성의 역사는 고유한 실체로서의 성이 아닌, 성을 둘러싼 다양하고 복잡한 실천들의 역사인 셈입니다.
본 수업의 일차적인 목표는 그중에서도 성에 관한 담론적이고 사상적인 실천들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마치 성적인 담론·사상이란 대상이 존재하니 그 역사를 살펴보면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와 달리 본 수업은 국가, 종교, 가정, 사회, 도덕·윤리와 같이 인간을 이해하고 또 통치하고자 했던 다양한 담론을 둘러보고, 그것들이 인간의 ‘성적인 측면’을 어떤 식으로 규정해 왔는가를 지성사적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이때 지성사란 과거의 담론을 구성하는 언어를 그 자체로 하나의 역사적 탐구의 대상으로 설정함을 의미합니다). 과거인들이 섹슈얼리티·젠더 및 그와 인접한 범주들을 어떠한 논리와 문제의식을 통해 사고했는가를 살펴볼 때, 우리는 성이라는 주제를 단순히 하나의 고립된 영역으로 바라보는 태도에 빠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즉 본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성의 역사를 통해 서구 근대가 인간과 사회, 문명을 사고해온 방식을 한층 깊이 있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수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1-3주차)에서는 전체 수업의 목표와 접근법을 개괄한 후, 고대 그리스·로마 및 초기·중세 기독교 전통에서 가정과 남녀,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다양한 장르·문제의식의 문헌을 검토합니다. 2부(4-6주차)는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시대 영국에서 남성 및 여성의 개혁·문명화라는 과제가 출현하는 양상을 살펴봅니다. 수업의 본론 격인 3부(7-11주차)는 장기 18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 가정과 국가의 관계 등과 연결된 다양한 주제들을 소화합니다. 마지막 4부(12-15주차)는 18세기 계몽주의 문명사의 도식이 이후 19-20세기에 집필된 ‘성의 역사’, ‘여성(주의)사’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추적해봅니다.
본 수업은 수강생에게 다음과 같은 훈련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첫째, (주로 17-18세기 영어권에서 생산된) 1차 문헌을 꼼꼼히, 주의 깊게 읽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연습입니다. 둘째, 주어진 2차 문헌을 정확히 읽고 연구사의 지형을 이해하는 연습입니다. 셋째, 특히 수업 4부에서, ‘역사 서술’을 수행하는 문헌을 하나의 1차문헌 혹은 사료로서 어떻게 다룰지를 숙고합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적 연구가 과거의 자료들로부터 역사적 해석·서사를 도출해내는 작업이라면, 그러한 역사적 서사를 제시하는 문헌 자체를 어떻게 지성사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봅니다.
과제물 및 성적 평가방식
출석 및 수업참여 20%, 과제/토론 30%, 발표(발제) 20%, 기말과제 30% 입니다.
상세한 과제·발표방식은 수업 시간에 따로 공지하겠습니다(매주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과제 및 주 참고문헌은 수강생의 전공 및 지적 배경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세미나 순서 및 문헌
I. 강의 개관 및 토대들
1주차 / 3월 3일. 역사 속의 섹슈얼리티: 접근법과 지향
<*발제 및 과제 없음>
-주 참고문헌
Michel Foucault,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An Introduction (Pantheon Books, 1978)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나남, 2020; 구판 번역도 무관함].
Jeffrey Weeks, What is Sexual History? (Polity, 2016).
리처드 왓모어, 『지성사란 무엇인가』(오월의봄, 2020).
2주차 / 3월 10일. 국가와 가정의 통치: 고대 담론에서 섹슈얼리티의 위치
-주 참고문헌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길, 2018), pp. 25-82(1권 “폴리스와 가정”), 96-99 및 139-158(2권 4, 9, 10장), 311-14(4권 13장 “중무장 보병의 정치체제”), 451-58(6권 4장 “민주정의 유형과 서열”), 498-534(7권 4-12장), 540-88(7권 14장-8권 4장).
플라톤, 『법률』(박종현 역, 서광사, 2009), pp. 123-27(1권 643a-644a), 373-392(5권 737c-745b), 439-599(6권 770a-8권 842a)..
크세노폰, 『경영론·향연』 (부북스, 2015), 13-144쪽(『경영론』).
-보조문헌
타키투스, 『게르마니아』 (숲, 2012).
Michel Foucault,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2: The Use of Pleasure (Pantheon Books, 1985) [미셸 푸코, 『성의 역사 2: 쾌락의 활용』, 나남, 2018].
피에르 아도,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 (열린책들, 2017).
앙드레 뷔르기에르 외 편, 『가족의 역사 1권』 (이학사, 2001) 중 4장 “그리스 도시 국가의 가족 (BC 5세기~4세기)”, 5장 “로마 시민으로서의 아버지, 아버지의 도시로서의 로마 (BC 2세기~AD 2세기)”, 6장 “로마 제국에 있어서 가족의 동작과 상징”.
3주차 / 3월 17일. 성욕, 결혼, 독신: 기독교 전통과 여성의 지위
-주 참고문헌
Peter Brown, The Body and Society: Men, Women and Sexual Renunciation in Early Christian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초판 1988]), pp. 213-40, 259-84, 305-38, 387-427(chs. 11, 13, 15-16, 19).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의 결혼론』 (야웨의말씀, 2010), pp. 67-120, 209-78(「결혼과 욕정에 관하여」(1권) 및 「경건을 위해 결혼하지 않음에 관하여」).
보라기네의 야코부스, 『황금전설』 (CH북스, 2007), 일부 발췌.
-보조문헌
기독교 성경: 구약 (창세기 1-3장 [가능하면 전체를 한번은 볼 것], 레위기 18-21장, 신명기 5장[십계명] 및 21-25장), 신약(마태복음 19장 및 22장, 로마서 7장 및 13장, 고린도전서(1 고린토) 7장 및 11장 1-16절, 에페소서 5-6장, 디모데전서(1 디모테오) 2장 및 5장, 디도 2장). (http://www.holybible.or.kr/ 에서 다양한 번역본 참조 가능)
John Witte Jr., From Sacrament to Contract: Marriage, Religion, and Law in the Western Tradition (2nd. e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2), Introduction 및 chs. 2-4 [제1판의 한국어판은 존 위티 주니어, 『성례에서 계약으로: 서양 혼인법의 역사와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06), 머리말 및 1장].
II. 문명화과정과 종교개혁
4주차 / 3월 24일. 르네상스 인문주의 전통1: ‘문명화과정’과 남성성
-주 참고문헌
발데사르 카스틸리오네, 『궁정론』[1528] (북스토리, 2009).
John Milton, Of Education (1644).
John Locke, Some Thoughts Conerning Education [1693], ed. by John W. Yolton and Jean S. Yolton (Clarendon Press, 1989) [존 로크, 『교육론』, 비봉출판사, 2011].
-보조 문헌
[Richard Allestree,] The Gentleman’s Calling (1660).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문명화과정』 (전2권, 한길사, 1996-1999).
Anna Bryson, From Courtesy to Civility: Changing Codes of Conduct in Early Modern England (Clarendon Press, 1998).
Markku Peltonen, The Duel in Early Modern England: Civility, Politeness and Hono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Keith Thomas, In Puruit of Civility: Manners and Civiliz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Waltham, MA: Brandeis University Press, 2018).
5주차 / 3월 31일. 르네상스 인문주의 전통2: 여성의 교육, 여성의 지식
-주 참고문헌
Leonardo Bruni, The Humanism of Leonardo Bruni: Selected Texts (Center for Medieval and Early Renaissance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7), pp. 240-51 (“On the Study of Literature”).
Juan Luis Vives, The Instruction of a Christian Woman, trans. by Richard Hyrde (London, 1585).
Bathsua Makin, An Essay to Revive the Antient Education of Gentlewomen (1673).
-보조 문헌
조반니 보카치오, 『보카치오의 유명한 여자들』 (나무와숲, 2004).
Sarah Gwyneth Ross, The Birth of Feminism: Woman as Intellect in Renaissance Italy and England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Carol Pal, Republic of Women: Rethinking the Republic of Letters in the Seventeenth Century (Cambridg University Press, 2012).
6주차 / 4월 7일. 잉글랜드국교회, 풍속개혁, ‘국교회여성주의’
-주 참고문헌
[Richard Allestree,] The Ladies Calling (1675).
Mary Astell, A Serious Proposal to the Ladies (Broadview Press, 2002) 중 Second Proposal.
Donald F. Bond, ed., The Spectator (5 vols, Clarendon Press, 1965), 일부 발췌.
Sarah Chapone, The Hardship of the English Laws in Relation to Wives (1735).
-보조 문헌
Patrick Delany, Fifteen Sermons upon Social Duties (1744).
John Spurr, The Restoration Church of England, 1646-1689 (Yale University Press, 1991).
Mark Goldie, “Mary Astell and John Locke,” Mary Astell: Reason, Gender, Faith (Ashgate, 2007), pp. 65-85.
Hannah Smith, “Mary Astell, A Serious Proposal to the Ladies (1694), and the Anglican Reformation of Manners in Late-Seventeenth-Century England,” Mary Astell: Reason, Gender, Faith (Ashgate, 2007), pp. 31-47.
Sarah Apetrei, Women, Feminism and Religion in Early Enlightenment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이우창, 「메리 아스텔의 초기 여성주의: “잉글랜드국교회의 딸”과 지식의 정치」, 『인문논총』 79.3 (2022), 357-86.
III. 계몽시대
7주차 / 4월 14일. 18세기 “여성 논쟁”과 여성 지식인
-주 참고문헌
Lady Mary Wortley Montagu, The Turkish Embassy Letters (Broadview Press, 2013).
Sophia, Woman Not Inferior to Man: or, A Short and modest Vindication of the natural Right of the Fair-Sex to a perfect Equality of Power, Dignity, and Esteem, with the Men (2nd ed. 1740).
Samuel Richardson, The History of Sir Charles Grandison (1753-54), 일부 발췌.
Hester Mulso Chapone, Letters on the Improvement of the Mind [1773], Bluestocking Feminism: Writings of the Bluestocking Circle, 1738-1785 Vol. 3 Catherine Talbot & Hester Chapone (Routledge, 1999), pp. 257-356.
-보조 문헌
드니 디드로, 『여성에 대하여: 그리고 성, 사랑, 결혼에 관한 3부작』(문학과지성사, 2021).
Hester Mulso Chapone, "Letters on Filial Obedience", Bluestocking Feminism: Writings of the Bluestocking Circle, 1738-1785 Vol. 3 Catherine Talbot & Hester Chapone (Routledge, 1999), pp. 203-48.
George Ballard, Memoirs of Several Ladies of Great Britain, Who Have Been Celebrated for Their Writings or Skill in the Learned Languages, Arts and Sciences (1752).
Alice Browne, The Eighteenth Century Feminist Mind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87).
Sylvia Harcstark Myers, The Bluestocking Circle: Women, Friendship, and the Life of the Mind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G. J. Barker-Benfield, The Culture of Sensibility: Sex and Society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Susan Staves, A Literary History of Women’s Writing in Britain, 1660-17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hilip Hicks, “Women Worthies and Feminist Argument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Woman’s History Review 24.2 (2015): 174-90.
8주차 / 4월 21일. 상비군에서 기사도까지: 계몽과 남성성
-주 참고문헌
Andrew Fletcher, A Discourse Concerning Militia’s and Standing Armies (1697)
Daniel Defoe, An Argument Shewing that a Standing Army with Consent of Parliament In Not Inconsistent with a Free Government (1698)
Bernard Mandeville, An Enquiry into the Origin of Honour, and the Usefulness of Christianity in War (1732).
David Hume,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Liberty Fund, 1987), 일부 발췌.
Edmund Burke,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1790), 일부 발췌.
-보조 문헌
프랑수아 페늘롱, 『텔레마코스의 모험』(전2권, 책세상, 2007).
Edmund Burke,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1757).
J. G. A. Pocock, The Machiavellian Moment: Florentine Political Thought and the Atlantic Republican Tradition (1975), ch. 12 [J. G. A. 포칵, 『마키아벨리언 모멘트』 (전2권, 나남, 2011), 2권 12장].
Terrence O. Moore Jr., The Enlightened Curriculum: Liberal Education in Eighteenth-Century British School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Edinburgh, 1998).
J. G. A. Pocock, Barbarism and Religion,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ch. 4.
Markku Peltonen, The Duel in Early Modern England(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J. G. A. Pocock, Barbarism and Religion, Vol.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chs. 13-16.
Mikko Tolonen, “The Gothic Origin of Modern Civility: Mandeville and the Scots on Courage,” The Journal of Scottish Philosophy 12.1 (2014): 51-69.
David Womersley, “Introduction”, Writings on Standing Army (Liberty Fund, 2020), ix-xlix.
9주차 / 4월 28일. 남성개혁의 양가성: 여성화의 위험
-주 참고문헌
Donald F. Bond, ed., The Spectator (5 vols, Clarendon Press, 1965), 일부 발췌.
Samuel Richardson, The History of Sir Charles Grandison (1753-54), 일부 발췌.
John Brown, An Estimate of the Manners and Principles of the Times (1757).
Adam Ferguson, An Essay on the History of Civil Society (1767).
Mary Wollstonecraft,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an (1790).
-보조 문헌
Lawrence E. Klein, “Liberty, Manners, and Politeness in Early Eighteenth-Century England,” The Historical Journal 32.3 (1989): 583-605.
G. J. Barker-Benfield, The Culture of Sensibility: Sex and Society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J. G. A. Pocock, “The Ideal of Citizenship Since Classical Times,” Theorizing Citizenship (ed. by Ronald Beiner, SUNY Press, 1995), 29–52.
J. G. A. Pocock, Barbarism and Religion,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sec. 6.
Philip Carter, Men and the Emergence of Polite Society, Britain 1660-1800 (Longman, 2001).
Michele Cohen, “‘Manners’ Make the Man: Politeness, Chivalry, and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y, 1750-1830,” Journal of British Studies 44 (2005): 312-29.
10주차 / 5월 5일. 루소와 울스턴크래프트, 고전기 담론의 지속 혹은 부활?
-주 참고문헌
장-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도서출판b, 2020).
장-자크 루소, 『에밀 또는 교육론』(전2권, 한길사, 2007), 일부 발췌.
장-자크 루소, 『신엘로이즈』(전2권, 책세상, 2012), 일부 발췌.
Mary Wollstonecraft,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1792).
-보조 문헌
Istvan Hont, Politics in Commercial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Sandrine Bergès, Eileen Hunt Botting, and Alan Coffee, eds., The Wollstonecraftian Mind (Routledge, 2019).
Sylvana Tomaselli, Wollstonecraft, Philosophy, Passion, and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11주차 / 5월 12일. 인구와 독신: 국가와 성도덕
-주 참고문헌
Donald F. Bond, ed., The Spectator (5 vols, Clarendon Press, 1965), 일부 발췌.
Montesquieu, The Spirit of Laws, Vol. 2 (1750), Bk. XXIII “Of Laws in the relation they bear to the number of inhabitants.”
Thomas Robert Malthus,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1798).
-보조 문헌
David Hume, “Of the Populousness of Ancient Nations,”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Liberty Fund, 1987), pp. 377-464.
김성룡, 「18세기 영국의 인구 증감 논쟁」, 『복현사림』 20 (1997): 153-79.
오경환, 「모아진 몸: 프랑스 제3공화국 인구감소 논쟁으로 본 푸코의 개인, 인구, 통치성」, 『서양사론』 103 (2009): 125-52.
Donald Winch, Malthu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원저는 1987]).
Sylvana Tomaselli, “Moral Philosophy and Population Questions in Eighteenth Century Europ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4 (1988): 7-29.
Dennis Hodgson and Susan Cotts Watkins, “Feminists and neo-Malthusians: Past and Present Allianc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3(1997): 469-523.
Ian Hacking, The Taming of Ch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이언 해킹, 『우연을 길들이다: 통계는 어떻게 우연을 과학으로 만들었는가?』(바다출판사, 2012)].
Michel Foucault,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Lectures at the Collège de France 1977-1978 (Palgrave Macmillan, 2009) [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난장, 2011)].
William Gibson and Joanne Begiato, Sex and the Church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Religion, Enlightenment and the Sexual Revolution (Bloomsbury Academic, 2017), ch. 6.
Jeffrey Weeks, Sex, Politics and Society: The Regulation of Sexuality since 1800, 4th ed. (Routledge, 2018).
IV. 문명사의 도식과 ‘성의 역사’ 쓰기
12주차 / 5월 19일. 계몽, 여성의 지위, 문명사
-주 참고문헌
François Poullain de la Barre, The Woman as Good as the Man: or, the Equality of Both Sexes (1677).
David Hume,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Liberty Fund, 1987), 일부 발췌.
Adam Smith, Lectures on Jurisprudence (Liberty Fund, 1982), 일부 발췌 [애덤 스미스, 『법학강의』 (전2권, 자유기업원, 2002)].
John Millar, The Origin of the Dinstinction of Ranks (Liberty Fund, 2006).
William Alexander, The History of Women, from the Earliest Antiquity, to the Present Time (2 vols., 1779).
-보조 문헌
Karen O’Brien, Women and Enlightenment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9), ch. 6.
Silvia Sebastiani, The Scottish Enlightenment: Race, Gender, and the Limits of Progress (Palgrave Macmillan, 2013).
Nicholas B. Miller, John Millar and the Scottish Enlightenment: Family Life and World History (Voltaire Foundation, 2017).
13주차 / 5월 26일. 여성, 가족, 국가의 역사: 문명사의 변용
-주 참고문헌
J. S. Mill, The Subjection of Women (1869) [존 스튜어트 밀, 『여성의 종속』(책세상, 2018)].
요한 야콥 바흐오펜, 『모권: 고대 여성지배의 종교적 및 법적 성격 연구』 (전2권, 나남, 2013[원저 1861]), 일부 발췌.
Friedrich Engels, The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1884)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책세상, 2018)].
에두아르트 푹스, 『풍속의 역사 1권』(까치, 2001[원저 1910]).
빌헬름 라이히, 『성혁명』(중원문화, 2023[원저 1936]).
- 보조 문헌
Lewis H. Morgan, Ancient Society, or Researches in the Lines of Human Progress from Savagery, through Barbarism to Civilization (1877) [루이스 헨리 모건, 『고대사회』(문화문고, 200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열린책들, 2020[원저 1930]).
14주차 / 6월 2일. 여성주의 역사서술과 억압가설의 비판
-주 참고문헌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을유문화사, 2021[원저 1949]), 일부 발췌.
Kate Millet, Sexual Politics (Doubleday & Company, Inc., 1970), part 2 [케이트 밀렛, 『성 정치학』 (쌤앤파커스, 2020)].
Shulamith Firestone, The Dialectic of Sex: the Case for Feminist Revolution (Quill, 1970), 일부 발췌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성의 변증법: 페미니스트 혁명을 위하여』(꾸리에, 2016)].
Michel Foucault,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An Introduction (Pantheon Books, 1978)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나남, 2020].
Jeffrey Weeks, What is Sexual History? (Polity, 2016).
- 보조 문헌
Natalie Zemon Davis, “’Women’s History’ in Transition: The European Case,” Feminist Studies 3.3/4 (1976): 83-103.
Joan Wallach Scott, “Gender: A Useful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Gender and the Politics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28-50.
Amanda Vickery, “Golden Age to Separate Spheres? A Review of the Categories and Chronology of English Women’s History,” The Historical Journal 36.2 (1993): 383-414.
15주차 / 6월 9일. 결산 및 기말과제 기획 발표